우리는 근대의 보지다 긍정적인 반이성 한계가 없고 속박되지 않고 용서없는 우리는 예술을 우리의 보지와 함께 찾는다 우리는 예술을 우리의 보지와 함께 만들어 간다 우리는 주이상스 속에서 광기가 신성하며 시와 같다고 믿는다 우리는 빅 대디 메인프레임의 파괴 공작원에 속하여 상징을 파열하는 새로운 세계 무질서의 바이러스다 클리토리스는 매트릭스로 통하는 다이렉트 라인이다 브이엔에스 매트릭스 도덕적 코드들의 터미네이터 점액의 용병들 아브젝션의 제단으로 내려가라 본능적 신전의 진실을 캐기 위해 우리는 방언으로 말한다 침투하기 방해하기 전파하기 담론 타락시키기 우리는 미래의 보지다.
(VNS MATRIX 1991)
나는 이러한 사이보그가 우리의 사회적 신체적 현실의 지도를 그리는 허구이자, 매우 생산적인 결합의 가능성 또한 제시하는 상상적 자원이라고 주장하려 한다...이 글은 사회주의-페미니즘 이론과 문화에 기여하려는 노력의 한 갈래이면서 포스트모더니즘과 비-자연주의 방식으로, 어쩌면 태초도 종말도 없을, 젠더 없는 세계를 상상하는 유토피아적 전통을 따른다.
(도나 해러웨이 1985, 19)
1990년대 서구 비평 담론이 사용하기 시작한 포스트-페미니즘이라는 용어가 한국에 본격적으로 소개되어 비평적 개념으로서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중반이었다. <앨리 맥빌>(1997~2002)이나 <섹스 앤더 시티>(1998~2004),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2003)와 같은 대표적인 포스트-페미니즘 텍스트가 한국 대중들을 만나면서 한국에서도 칙릿 소설인 『달콤한 나의 도시』(2008) 등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손희정 2015, 28)
하향식 남성 학자로 간주되는 인공 지능 (AI)을 ALife 프로그래밍이라고 표시된 상향식 여성화 버전으로 재협상하는 경우도있다.
(Kember 2003, 7)
지배적인 사이버 페미니스트적 관점은 사이버 공간과 인터넷에 대한 유토피아적 관점을 성별, 성별 차이, 인종과 같은 사회적 구성으로부터 자유로움의 수단으로 취한다. 한 예로, 개념에 대한 설명은 새로운 기술이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소위 기술문화의 교활한 젠더링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고 본다.
(Grenville 2001, 189)
또한 기술을 신체와 기계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간주합니다. 이것은 바바라 케네디와 같은 이론가들에 의해 유지되는 사이버 페미니즘이 특정 사이 보리 안 의식 개념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설명되는데, 이는 이진 론과 반대 론적 담론을 세분화하는 사고 방식을 나타낸다.
(Plain 2007, 327)
아직 생성 가운데 있는 사이버 공간이라는 미로 속에서 정책과 결정과 실천이 제 길을 찾을 수 있도록 하나의 긍정적인 시각을 만들어내고자 한다.
(피에르 레비, 17)
기계 학습은 놀라울 정도로 남성 중심적, 편의적이다.
(매러디스 브루서드 2018, 151-209)
현대 한국사회에서 퀴어 집단은 적대와 혐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소수자 집단이 되었다. 멸시, 조롱, 비하, 무시, 모욕 같은 일상적인 차별 경험과 집회와 시위 금지, 공간 대관 불허, 강제 입원, 진료 거부, ‘전화 치료’ 강제, 가족구성권 침해, 공적 재현의 영역에서의 배제, 증오 범죄 등의 제도화된 폭력은 퀴어 집단에 커다란 고통을 안겨주고 있다.
(시우 2018, 73)
지난 3년간 페미니즘은 ‘여성혐오’라는 개념을 일종의 언어적 거점으로 두면서 운동을 견인해왔고 한국사회의 소수자 혐오를 문제시하는 ‘혐오 담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사회적 현상으로서 ‘혐오’를 이처럼 대중적으로 의제화할 수 있었던 데에는 여성혐오 개념의 영향력이 있었음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스스로를 ‘우리는 페미니스트가 아니고 남혐주의자’라고 규정하는 워마드 게시판 유저도 아니고 ‘똥꼬충’이나 ‘젠신병자’같은 말이 혐오발화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랟펨도 아닌, 기존의 페미니스트 활동가가 “혐오가 쉬운가?”라고 질문했다...그리하여 여전히 혐오다…
(손희정 2018, 22)
IBM과 Microsoft의 연구에 따르면 많은 AI 시스템이 편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훈련 받았다고 인정하고 주장합니다. AI 시스템은 우리가 입력 한 데이터만큼만 좋습니다. 나쁜 데이터에는 암묵적인 인종, 성별 또는 이념적 편견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많은 AI 시스템은 나쁜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훈련을받으며 이는 지속적인 문제다.
(Crawford 2017; IBM Research)
인터넷 기술은 남성적 환상에 기반한 왜곡된 표상을 현실과 구별되는 독자적 세계로 구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급속히 퍼져가는 ‘정보’고서 여성혐오의 영향력은 가상 세계에 국한되지 않는데 매일 온라인으로 접속하는 현실의 인간들의 사고와 언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정인경 2016, 212)
2000년대 초반, 젠더 프리한 공간이 남초 공간으로 돌아선다.
(권김현영 2017, 54-60)
한국에서는 이미 1980년대에서 90년대에 새로운 영토로 등장해 사이버 공유지로 상상되었던 인터넷에서 여성과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가 점증되기 시작했다.
(손희정 2017b,137)